꿀벌 정보통~ 링크HONEY

일상생활정보

SNS 사용자 여러분~ 우리는 왜 '좋아요'를 클릭합니까?

linkhoney 2025. 2. 7. 17:23
반응형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수백 번씩 SNS에서 게시물을 클릭하고, 좋아요를 누르고, 공유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왜 특정 게시물이나 사람에게 더 끌리는 걸까요? 단순한 호기심 때문일까요, 아니면 더 깊은 심리적 이유가 있을까요?
과학은 우리가 특정 사람과 즉시 유대감을 느끼는 이유를 밝혀냈습니다. 뇌 활동이 동기화되는 ‘신경 동기성’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또한, 비슷한 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SNS에서 특정 콘텐츠에 반응하는 심리적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1. 신경 동기성과 SNS 클릭의 관계

2018년 다트머스 대학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에 속할수록 뇌 활동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연구진은 42명의 참가자에게 짧은 비디오 클립을 시청하게 하면서 fMRI를 이용해 뇌 활동을 측정했으며, 가까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끼리는 감정을 처리하는 방식과 선택적 주의 영역에서 비슷한 뇌 반응을 보였습니다. 심지어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를 해석하는 역할을 하는 하측 두정엽에서도 유사한 활동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SNS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자주 클릭하는 콘텐츠는 우리의 신경 활동과 동기화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의 게시물에 반응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험이 반복될수록 신경 동기성이 더욱 강화됩니다.

 

2. 웃음과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

웃음은 강력한 사회적 신호입니다. 함께 웃을 때 사람들은 서로 더 친밀하다고 느낍니다. 옥스퍼드 대학의 로빈 던바 (Robin Dunbar) 교수는 유사한 유머 감각을 가진 사람들이 더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이타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SNS에서 밈(meme)이나 유머러스한 콘텐츠가 폭발적인 반응을 얻는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비슷한 유머 감각을 공유하는 콘텐츠에 반응하며, 이를 통해 같은 감각을 가진 사람들과 더 깊은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특정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달고, 공유하는 것은 단순한 재미 이상의 심리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입니다.

3. 클릭을 유도하는 심리적 요인

우리는 나이, 민족, 계층, 교육 수준 등 인구학적 특성이 비슷한 사람들과 더 쉽게 연결됩니다. 이는 우리가 비슷한 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SNS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신과 비슷한 관심사나 경험을 공유하는 계정의 콘텐츠에 더 자주 클릭하게 됩니다.

  1. 동질성 효과: 비슷한 관심사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게시물에 더 관심을 가집니다.
  2. 사회적 검증: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콘텐츠일수록 신뢰하고 클릭하게 됩니다.
  3. 호기심 자극: 미스터리한 제목이나 질문형 문구는 클릭을 유도합니다.
  4. 감성적 연결: 감동적인 이야기나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이 담긴 콘텐츠에 반응합니다.

 

4. 낯선 사람과의 즉각적인 연결

때때로 우리는 삶의 중요한 순간에서 처음 보는 사람과 깊은 유대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취약한 순간을 공유할 때 사람들은 더 쉽게 연결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어려운 문제를 함께 해결하거나 공통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협력하는 과정에서 강한 유대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SNS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감동적인 사연, 극복 이야기,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은 사용자들의 즉각적인 참여를 이끌어냅니다. 이러한 콘텐츠가 빠르게 확산되는 이유는 우리가 감정적으로 연결되는 콘텐츠에 본능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SNS에서의 클릭은 단순한 디지털 신호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감정, 가치관, 그리고 사회적 연결 욕구를 반영하는 복잡한 심리적 메커니즘의 결과물입니다. 다음번에 여러분이 SNS에서 무언가를 클릭할 때, 그것이 단순한 행동이 아닌 인간 관계를 만들어가는 작은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