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정보통~ 링크HONEY

일상생활정보

호르몬 피임약이 뇌에 미치는 영향?

linkhoney 2025. 3. 10. 09:38
반응형

안녕하세요, 링크허니입니다. 오늘은 많은 여성들이 사용하는 호르몬 피임약이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피임약, 간편하고 효과적인 피임 방법이지만, 우리 몸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뇌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많은 부분이 베일에 싸여 있어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전 세계적으로 3억 명이 넘는 여성이 호르몬 피임약(HC)을 사용하고, 생리 연령대에 미국 여성의 82%가 HC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생리시기를 미루거나 특정환경이나 혹은 피임 등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흔하게 사용되는 호르몬 피임약이 우리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호르몬 피임약, 내 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 감정 조절 영역의 변화: 신경영상 연구 결과, 호르몬 피임약 사용자들은 감정을 제어하는 여러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에서 상당한 변화가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청소년의 뇌는 호르몬 피임약의 부정적 영향에 더욱 민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영구적인지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설치류 실험 결과: 건강한 온전한 암컷 설치류에게 에티닐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틴 레보노르게스트렐을 투여한 결과, 도파민 세포 수와 흑질선조체계의 도파민 수치가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하며, 해마 내에서도 구조적, 생화학적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해마는 기억을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핵심 영역으로, 해마의 기능 장애는 주요 우울 장애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첫 사용 연령의 중요성: 미국에서는 호르몬 피임약이 월경 후 사용이 승인되었으며, 4명 중 1명의 청소년 여성이 18세가 되기 전에 호르몬 피임약에 노출됩니다. 청소년의 뇌는 호르몬 피임약의 영향에 독특하게 민감하여, 호르몬 치료를 중단한 지 몇 년 후에도 주요 우울증 위험이 증가하고, 성인이 되어서 항우울제를 처방받을 가능성과 자살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 청소년의 뇌, 호르몬 피임약에 더욱 민감하다?

미국에서는 4명 중 1명의 청소년 여성이 18세 이전에 호르몬 피임약에 노출된다고 합니다. 청소년의 뇌는 호르몬 피임약의 영향에 특히 민감할 수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HC 사용은 호르몬 치료를 중단한 지 몇 년 후에도 주요 우울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HC를 사용하는 청소년은 성인이 되어 항우울제를 처방받을 가능성이 더 높고 자살 위험도 더 크다고 합니다.

청소년기에 내인성 호르몬을 억제하거나 외인성 합성 호르몬을 도입하면 호르몬 매개 신경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구조적 변화가 영구적인지 여부는 향후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합니다.

 

 

3. 호르몬 피임약,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호르몬 피임약은 다양한 종류와 제형이 있으며, 개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처방받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르몬 피임약은 크게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함유한 복합 경구 피임약과 프로게스틴만을 함유한 단일 경구 피임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함유한 복합 경구 피임약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머시론, 마이보라, 에이리스 등이 있습니다.

호르몬 피임약을 복용하기 전에는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와 피임 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호르몬 피임약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복용해야 하며, 복용을 중단하거나 불규칙하게 복용할 경우 임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호르몬 피임약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두통, 메스꺼움, 체중 변화, 감정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4. 호르몬 피임약, 정신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호르몬 피임약이 정신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호르몬 피임약 사용이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의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호르몬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우울증 위험이 20% 증가하며, 불안장애와 공황장애의 위험도 각각 16%, 2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호르몬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자살 충동을 느낄 확률이 2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피임약의 종류, 복용 기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호르몬 피임약을 복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와 피임 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고, 부작용과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호르몬 피임약을 복용하면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결론: 호르몬 피임약, 신중한 선택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호르몬 피임약은 효과적인 피임 방법이지만, 우리 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신중하게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호르몬 피임약 사용에 더욱 신중해야 하며,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처방받아야 합니다.

호르몬 피임약 사용 중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