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정보통~ 링크HONEY

일상생활정보

성적 학대를 일삼는 대학 코치들의 보이지 않는 위협

linkhoney 2025. 5. 10. 00:13
반응형

당신의 딸은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링크허니입니다.
딸을 대학에 보낸다는 건 가족 모두에게 기쁜 순간입니다. 그러나 부모로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어두운 현실이 있습니다. 바로 대학 코치에 의한 성적학대입니다. 운동부 활동이 활발한 미국 대학에서는 코치와 학생 선수 간의 권력 불균형을 악용한 성적학대가 생각보다 흔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설마 우리 아이는 괜찮겠지”라는 방심이 오히려 위험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떤 코치는 "그루밍"이라는 전략으로 피해자를 물색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적학대의 실태와 신고되지 않는 이유, 포식자의 행동 방식, 그리고 부모가 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예방 조치에 대해 구체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성적학대, 생각보다 훨씬 흔합니다

미국 비영리단체 Lauren’s Kids가 2021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남녀 대학 운동선수 중 25% 이상이 캠퍼스 내 권력자에게 성폭행이나 희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많은 가해자 유형은 다름 아닌 대학코치였습니다.

또한 **미국 안전 스포츠 센터(US Center for SafeSport)**의 2020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학 운동선수의 9%가 스포츠 활동 중 부적절한 성적 접촉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중 48%는 "코치가 선수와 성관계를 가졌던 사례를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에서는 대학 스포츠계에서의 성적 학대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8년 대한체육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접수된 성폭력 사건은 총 136건으로, 이 중 상당수가 대학 스포츠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2020년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성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여성의 13.6%가 학교 내에서 성희롱이나 성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보면 과소평가하기 쉽지만, 많은 사건들이 신고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수치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습니다.

 

2. 왜 피해자들은 신고하지 않을까?

2003년 전국 여성센터(National Center for Women)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대학 내 성폭행 또는 성폭행 시도의 신고율은 5% 미만이며, 이 중 교내 당국에 신고된 비율은 그보다 더 낮았습니다.

이유는 간단하지 않습니다.

  • 코치에 대한 두려움: 운동선수는 출전 시간, 장학금, 향후 커리어를 코치가 쥐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 문화적 침묵: 운동계에는 ‘강인함’을 미덕으로 여기는 문화가 뿌리 깊게 남아 있습니다. 피해를 말하는 것이 ‘약함’으로 간주되곤 합니다.
  • 사회적 낙인: 피해자들은 동료나 학교, 가족으로부터 ‘문제를 만든 사람’으로 지목될까 두려워 침묵을 선택합니다.

미국 회계감사국(GAO)도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경고한 바 있습니다.

“대학 운동선수들은 성희롱과 폭력을 신고하기 어려운 스포츠 문화에 노출돼 있다... 따돌림, 장학금 상실 등 현실적인 두려움이 있다.”

 

3. 그루밍 101: 포식자의 전략을 이해하라

코치들은 노골적인 폭행보다는 ‘그루밍’ 전략을 통해 피해자를 조련합니다. 이는 아동 성범죄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 조작 전략입니다.

단계별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적 설정

외로움을 느끼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 선수가 주요 표적이 됩니다. 개인적인 어려움을 겪는 경우, 포식자는 이를 알아채고 접근합니다.

(2) 특별 대우

코치는 이 학생에게 과도한 관심과 격려를 보이며 신뢰를 쌓습니다. 별도의 개인 코칭, 사적인 대화, 식사 등이 이뤄집니다.

(3) 경계 허물기

다음 단계는 전문적 경계를 넘는 행동입니다. 예를 들면, 밤늦게 문자하기, 개인적인 문제를 공유하기, 운동 외 시간에 자주 만나기 등입니다.

(4) 점진적 접촉

이후 코치는 실수인 척 신체 접촉을 시도하며, 이를 정서적 관계로 합리화하려고 합니다. 이쯤 되면 피해자는 이미 코치에게 정서적으로 의존하게 됩니다.

 

4. "합의된 관계"라는 환상

코치와 선수 간 관계에서 합의(consent)는 성립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권력 불균형이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코치가 장학금, 출전 기회, 팀 내 입지를 통제하는 상황에서, 피해자가 관계를 거절할 자유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5. 부모가 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보호 조치

딸이 대학에 입학하기 전, 이런 대화를 꼭 나누세요.

✅ 그루밍에 대해 교육하기

“밤 11시에 코치가 ‘그냥 얘기하자’며 문자를 보냈다면, 그것은 그루밍일 수 있다”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세요.

✅ 위험 신호 인식법 교육

  • 과도한 ‘특별 대우’
  • 팀 외 친구들과의 단절 요구
  • 비밀 유지 강요 (“우리 얘긴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
  • 자주 외부에서 단둘이 만나는 제안

✅ 지원 네트워크 확보

  • 대학 캠퍼스 외에도 딸이 신뢰할 수 있는 성인(가족 친구, 상담사 등)을 확보해 주세요.
  • 팀원들과의 우정도 장려하세요. 포식자는 고립된 아이를 노립니다.

✅ 소통 기록 보관

문자, 이메일, DM 등 코치와의 소통 기록은 삭제하지 않고 보관하세요.

✅ 대학의 성적학대 대응 시스템 검토

  • Title IX(성차별 금지법) 책임자의 정보는 공개되어 있는가?
  • 지난 5년간의 성희롱 관련 불만 처리 건수는?
  • 익명 제보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결론 – 예방은 정보에서 시작됩니다

딸을 대학에 보낸다는 것은 그녀의 미래를 향한 큰 발걸음이지만, 현실은 때로 가혹할 수 있습니다. 성적학대는 먼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옆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입니다.

딸에게 직감을 믿도록 가르치세요. 어색하거나 불편하다고 느끼는 상황에서는 설명 없이 그 자리를 벗어나 부모에게 바로 연락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그건 네가 특별해서 그래”라는 코치의 말이 위험의 신호일 수 있음을 딸에게 알려주세요. 오히려 이런 정보를 나누는 것이야말로 딸을 또 하나의 피해자로 만들지 않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성적학대사례 #대학코치성추행 #대학성범죄예방 #코치그루밍전략 #대학운동부위험 #자녀성적학대예방 #딸대학보내기준비 #캠퍼스성희롱 #대학코치문제 #성적접근징후 #여성운동선수위험 #학부모성범죄예방 #코치피해신고방법 #코치와부적절관계 #대학포식자대처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