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정보통~ 링크HONEY

일상생활정보

경외심이 위기의 시기에 우리를 치유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linkhoney 2025. 4. 18. 09:15
반응형

“이토록 압도적인 감정이 우리를 살릴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링크허니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예측 불가능한 위기의 순간들과 마주하게 됩니다. 자연재해와 같은 거대한 역경 앞에서 인간은 때때로 무력감을 느끼지만, 동시에 놀라운 회복력과 타인을 향한 따뜻한 연대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우리를 일으켜 세우고 치유하는 강력한 힘 중 하나가 바로 경외심입니다.

그리고 그 순간, 경외심이 단순히 “감탄”을 넘어서 치유와 회복을 이끄는 실질적인 감정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위기의 순간, 경외심은 어떻게 우리의 마음을 바꾸는가

1. 경외심은 생존 본능을 넘어선 공감의 원천입니다

경외심(驚畏心)은 심리학적으로 ‘자신을 초월한 어떤 거대한 것과 마주하며 느끼는 감정’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은 때로는 장엄한 자연, 때로는 예술작품, 때로는 인류애에서 비롯되죠. 미국 UC버클리 심리학자 다처 켈트너(Dacher Keltner)의 연구에 따르면, 경외심은 뇌의 기본적인 신경 반응뿐 아니라 타인과 연결감을 증진시키는 신경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킨다고 합니다.

위기 상황에서 사람들이 서로를 돕는 행동, 예컨대 LA 산불 당시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은 감정적으로 매우 설명이 어려웠습니다. 왜냐하면, 공포와 불안은 본래 ‘도피’를 유도하는 감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사람들은 모여들었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경외심에 있다는 것이 최근의 주요 심리학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습니다.


2. 위기의 순간, 경외심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인간은 위기 상황에서 본능적으로 자기보존을 우선시합니다. 하지만, 경외심은 이 자기중심적인 반응을 잠재우고 ‘우리’라는 공동체 정체성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UCSF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8주간 ‘경외심 산책’을 시켰습니다. 단 15분씩, 자연 속에서 평소에 주의 깊게 보지 않던 것들을 느끼는 훈련이었습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감사, 연민, 이타심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실험은 단순한 일상이 감정적 회복력을 어떻게 길러주는지를 보여주는 실증적인 예입니다. 그리고 이는 대규모 재난 속에서도 나타나는데요, 집을 잃은 사람을 돕기 위한 기부금 모금, 자원봉사, 커뮤니티 중심의 행동들 모두 경외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습니다.


3. 자연재해가 불러일으키는 경외심은 파괴를 넘어 연대를 일으킵니다

캘리포니아 산불처럼 상상할 수 없는 규모의 자연재해는 공포의 대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파괴적인 힘조차도 우리에게 경외심을 심어주는 요소입니다. 자연 앞에서 느끼는 무력감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작고 취약한지를 인식하게 만듭니다. 그런데 이 감정은 단지 ‘절망’이 아니라, 연결과 의존을 깨닫게 하는 감정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위기 이후에는 자원봉사 신청률, 기부금 증가, 공동체 활동 참여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경외심과 연계된 행동이라고 학계에서는 분석합니다.

FEMA(미국 연방재난관리청)의 2020년 보고에 따르면, 대형 재난 이후 자원봉사 지원 건수는 3개월 평균 152% 증가했습니다.


4. 일상에서 경외심을 경험하면 위기 회복력이 높아집니다

꼭 재난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일상 속에서도 경외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나무에 맺힌 이슬방울, 벌새의 날갯짓, 아이가 처음으로 ‘엄마’를 부르는 순간. 이런 소소한 순간이 반복되면 뇌는 ‘자기중심성’을 낮추고 타인에 대한 공감을 자연스럽게 끌어올립니다.

경외심은 뇌의 전두엽과 관련된 감정 조절과 공감 기능을 자극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5. 경외심이 촉진하는 회복력은 ‘지속성’이 있다

자연재해가 끝나도 사람들의 공감 능력과 공동체 정신은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경외심을 통해 형성된 유대감은 장기적인 사회적 회복력을 만들어냅니다.

예컨대, LA 산불 이후 만들어진 여러 자조 단체나 모금 운동은 불길이 꺼진 이후에도 활동을 계속 이어갔습니다. 이처럼 경외심은 단기적인 감정 반응이 아니라,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론: 경외심은 ‘연결’과 ‘회복’의 감정입니다

우리는 흔히 위기를 공포와 분노의 시기로 인식합니다. 하지만, 경외심은 그 위기 속에서 ‘치유’를 가능하게 만드는 감정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작고 연약하다는 걸 받아들이게 하며, 동시에 다른 사람과 자연, 그리고 삶 전체와 다시 연결되도록 이끕니다.

그러니 다음번 자연의 위력 앞에 압도될 때, 그 경외심을 부정하지 마세요. 그 감정은 곧 회복의 출발점일 수 있습니다.

 

 

 

 

#경외심이란무엇인가 #위기속경외심 #경외심의심리학 #자연재해경외심 #감정의치유방법 #경외심의효과 #공감과경외심 #스트레스완화경외심 #경외심과사회적연결 #재난속공감 #경외심실험결과 #경외심산책방법  #회복탄력성과경외심 #일상속경외심 #경외심이주는영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