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정보통~ 링크HONEY

일상생활정보

명절! 연휴! 위급상황발생! 응급처치 방법!

linkhoney 2025. 1. 9. 20:08
반응형

명절이나 연휴 기간에는 병원과 약국이 영업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갑작스러운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의식장애, 경련, 구토, 두드러기, 상처나 화상, 사고, 삼킴 문제 등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열, 인후통, 코라나 19 의심시 코로나19 발열 클리닉 115개소
COVID19 발열클리닉
애매할 땐 119 상담! 119신고 및 상담 후 응급의료기관 방문
경증 문여는 병원, 의원 방문
당직 병원, 의문, 응급의료시설, 지역응급의료기관 
  • [경증]일 경우 문여는 병의원 우선 방문

    혹시 손가락 배임, 두피나 얼굴에 얕은 상처(찢어짐), 두드러기, 복통/두통, 열/인후통, 가벼운 화상 발생 시에는 문여는 병원, 의원을 우선 방문해 주세요.
문여는 병의원·약국 검색-일반 | E-GEN통합홈페이지
  • [중증/경증] 애매할 때

    중증/경증 애매할 땐 혹은 응급상황일 때 119상담하고 도움을 받으세요!

성인


1. 얼굴

  • 얼굴 반쪽이 움지이기 어렵거나 저림
  • 방긋 웃으면 입이나 얼굴 한쪽이 비뚤어짐
  • 혀가 마비되어 말을 하기 어려움(이상한 말을 함)
  • 시야가 좁아지거나 갑자기 사물이 이중으로 보임
  • 안색이 너무 나쁨

2. 머리

  • 갑작스런 극심하 두통
  • 갑자기 휘청거리거나 균형을 잡을 수 없고 기대지 않고는 서있을 수 없음

3. 가슴, 등

  • 갑작스런 극심한 츙통이나 등의 통증이 지속(조이거나, 압박하는 듯한, 찍어지는 듯한 통증)
  • 심한 헐떡임, 호흡곤란
  • 어깨나 목, 턱으로 뻗치는 듯한 통증 동반

4. 배

  • 갑작스런 극심한 복통(허리를 펼 수 없는 통증 등)
  • 극심한 복통이 지속
  • 피를 토하거나 변에 피가 섞이거나 새까만 변이 나오는 경우

5. 손발

  • 갑작스런 팔다리 저림
  • 갑자기 한쪽팔이나 다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음
고령자는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타 평상시와 다르고, 상태가 이상한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아


1. 얼굴

  • 입술색이 보라색
  • 안색이 매우 나쁨

2. 머리

  • 머리가 아프다고 하며 경련(팔다리를 떨거나 마비)
  • 머리를 강하게 부딪쳤고, 출혈이 멈추지 않음
  • 의식이 없음(흔들어도 반응이 없음, 불러도 대답이 없음)

3. 가슴

  • 극심한 기및이나 헐떡거림으로 가슴이 들썩거리고 숨쉬는게 힘들어 보임
  • 숨실때 이상한 소리가 나고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음
  • 숨이 약함

4. 배

  • 극심한 설사나 구토로 식용이 없으며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하고 축 늘어짐, 의식이 명료하지 않음(불러도 정상적으로 반응하지 않음)
  • 극심한 복통으로 울거나 힘들어하며 달래지지 않음
  • 멈추지 않는 구토
  • 변에 피가 섞여 있음

5. 손발

  • 손발이 경직되어 있음
부모가 봤을때 평사시와 다르고, 상태가 이상한 소아의경우,
특히 생후 3개월 미만의 갓난 아기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 주시사항!

1. 의식장애

의식장애는 뇌 손상, 중독, 저혈당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먼저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고, 반응이 없으면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환자의 호흡과 맥박을 확인하고, 호흡이 없거나 불규칙한 경우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합니다. CPR은 인공호흡 2회와 흉부 압박 30회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 의식이 없음(대답이 없음) 또는 이상함(몽롱함)
  • 축 늘어져 있음

 

2.경련

경련이 발생한 환자는 안전한 장소로 옮기고, 주위에 날카로운 물건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환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입에 아무것도 넣지 않도록 합니다.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구토가 발생한 경우, 환자를 옆으로 눕혀 기도 확보를 합니다. 구토물로 인한 질식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를 옆으로 돌리고 기도를 확보합니다. 만약 구토가 지속되거나 혈액이 섞여 있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합니다.

  • 멈추지 않는 경련(몸이 뻣뻣해지거나 떠는 경우)
  • 경련이 멈췄으나 의식이 돌아오지 않음
  • 구토
  • 오한과 땀을 동방한 강한 구역질(오심/구토)

 

3.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가려움증과 붉은 반점이 특징입니다.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고, 증상이 심할 경우 병원을 방문합니다. 만약 호흡곤란, 얼굴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 벌레에 물리거나 약을 먹고 전신에 두드러기, 호흡곤란 발생, 안색이 좋지 않음

 

4. 상처나 화상

상처가 발생한 경우, 먼저 상처 부위를 깨끗이 세척한 후 소독합니다. 출혈이 심한 경우 지혈을 위해 압박 붕대를 사용합니다. 화상이 발생한 경우, 화상 부위를 즉시 찬물로 식혀주고, 화상 연고를 바릅니다. 심한 화상인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합니다.

  • 멈추지 않는 출혈이 있는 상처
  • 통증이 심하거나 광범위한 화상

 

5. 사고

사고로 인해 골절, 탈구 등이 발생한 경우, 환자를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고 부상 부위를 고정합니다.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부상을 당한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탈구의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위치를 복구하지 않도록 합니다. 즉시 119에 신고하고 병원을 방문합니다.

  • 교통사고를 당함(강한 충격을 받음)
  • 물에 빠져 건졌으나 다량의 물을 삼킴
  • 높은 곳에서 추락

 

6. 삼킴

삼킴 문제로 인해 질식 위험이 있는 경우, 즉시 환자의 등을 두드리거나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을 시도합니다. 기도가 막힌 상태에서는 절대 물이나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하며,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 음식물이 목에 걸려 호홉이 어렵거나 의식이 없음

 

경증이란?
구분 내용
경증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이 아니며, 경미한 부상이나 질병 등으로 몇 시간 또는 며칠 안에 치료를 받거나 증상에 대한 재 평가를 시행해도 되는 경우
경증응급(비응급) ㆍ 요로감염증상(심하지 않은 배뇨통)
ㆍ 변비(심하지 않은 통증)
ㆍ 발열을 통반한 복통
ㆍ 두드러기
ㆍ 설사(탈수 증상 없음)
ㆍ 심하지 않은 복통/두통
ㆍ 심하지 않은 물린 상처
ㆍ 발목 염좌 등 근육 통증
ㆍ 얕은 열상, 상처 소독
ㆍ 약 처방
ㆍ 심하지 않은 호흡곤란
ㆍ 평소 느끼지 못한 정도의 복통/두통
ㆍ 조절되지 않는 혈변
대처 방안 문여는 병워, 의원 방문
ㆍ 당직 병원, 의원
ㆍ 응급의료시설
ㆍ 지역응급의료기관

 

중증이란?
구분 내용
중증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이 아니며, 경미한 부상이나 질병 등으로 몇 시간 또는 며칠 안에 치료를 받거나 증상에 대한 재 평가를 시행해도 되는 경우
중증응급(위급) ㆍ 혈액이 섞인 구토
ㆍ 극심한 흉통/복통/두통
ㆍ 중증 외상(여러 부위 골절을 동반한 열린 상처 등)
ㆍ 중증외상(쇼크)
ㆍ 중증의 호흡곤란
ㆍ 의식장애
ㆍ 심정지
대처 방안 119신고 및 상담 후 응급의료기관 방문

우리나라에서 최근 5년간, 응급실에서 자주 진단된 경증 질환은?

  • 위염 및 장염
  • 머리의 얕은 손상, 열린 상처(열상)
  • 손목 및 손의 열린 상처(열상, 베임)
  • 두드러기
  • 복부 및 골반통증
  • 두통
  • 급성 상기도 감염(감기, 인후통, 비염 등)

 

마치며

명절이나 연휴 기간에는 갑작스러운 응급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식장애, 경련, 구토, 두드러기, 상처나 화상, 사고, 삼킴 문제 등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다면,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응급처치 방법을 숙지하여, 소중한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지키세요.

 

 

반응형